교량 접속 슬래브 설치 목적
교량 구조물은 소형 차량 부터 덤프 트럭,
중장비 등이 쉴 사이 없이 통행 하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으로 부터 구조물의 크랙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속 슬래브를
별도로 제작 설치 한다.
접속 슬래브는 교량의 초입과 끝 부분에 설치를
하게 되는데 이는 차량이 교량에 집입 할때 1차
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교량과 분리된
형태로 시공하게 된다.
접속슬래브 자재의 구성
○ 탄성고무받침 15t x 150 x150
○ 타르페이퍼 15t x 300 x 1000
○ 강관파이프 60Ø x 300mm
○ 보호용스프링 16Ø x 300mm
○ 격자철근 16Ø x 300 x 300mm
○ 아스팔트 충진제
예전에는 제품의 규격이 현장 별로 다르기도
했지만 요즘은 상기 규격으로 표준화 되었다.
접속 슬래브 자재 시공 방법
타르 페이퍼를 교대 부분에 시공된
다웰바을 관통하여 교대 부분에 깔아
주면 된는데 교량의 폭 만큼 깔아준다.
타르 페이퍼는 교량 구조물과 과 슬래브를
분리하여 충격 완화 역할을 한다.
탄성 고무 받침을 다웰바 에 끼워 넣는다.
강관 파이프 를 다웰바 에 끼워 넣는다.
아스팔트 충진제를 잘게 부수고 버너를
이용해서 녹인 후 철재 바가지를 이용하여
강관 파이프에 채워 넣으면 되는데
한번에 많이 넣으면 흘러 내리기 때문에
1차로 소량을 넣고 일정시간 경과 후
경화된 뒤에 충진 하면 작업이 수월하다.
스프링 철근과 격자 철근은 슬래브 철근
배근 할때 같이 설치하면 되는데 스프링
철근은 강관 에 끼워 넣고, 격자 철근은
스프링 철근의 하단에 끼우면 된다.